본문 바로가기

WINK-(Web & App)

[2023 신입부원 심화 스터디] 이정욱 #2주차 - 기초 문법 Part.2, 3

반응형

1. 조건문 (if)

조건문은 if 를 사용하여 실행한다.

const a = 10;
const b = 20;

if (a > b) {
	console.log('a가 더 작아요!')
} else if ( a == b) {
    console.log('a와 b가 같아요!')
} else {
    console.log('a가 더 커요!')
}

if (조건문) { 실행부분 } 형식으로 작성되고 조건문이 만족하면 실행부분 안으로 진입하여 코드를 실행한다.

else if는 이전의 if문이 실행되지 않고 넘어갔을 때 새로운 조건을 추가하여 실행된다.

else는 이전의 if문과 else if문들의 조건들을 제외한 나머지 상태일 때 실행된다.

 

2. 조건문 (switch)

조건문은 switch의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const number = 10;

switch (number) {
case 1:
    	console.log(number);
        break;
    case 10:
    	console.log(number);
        break;
    default:
    	console.log('아무것도 해당되지 않아요!');

switch문은 (조건문) 안에 해당하는 case들을 지나치면서 해당 case가 참이면 break를 할 때까지 모든 코드를 실행시킨다.

그렇기 때문에 case를 작성할 때에는 break를 같이 작성해줘야 한다.

 

3. 반복문(for)

반복문은 for문을 통해 사용할 수 있다.

for(let i = 0; i < 5; i++) {
	console.log(i);
}

/* 
0
1
2
3
4
출력
*/

for문(초기식; 조건식; 증감식;) 으로 구성되어 있다.

for문의 조건식이 만족하는 동안 for문을 반복하며 반복할 때 마다 증감식을 실행한다.

for문 안에 continue를 사용하게 되면 다음 반복으로 넘어가게 되고 break를 사용하면 해당 반복문이 종료된다.

 

const arr = [1, 2, 3]

for (const i of arr) {
	console.log(i);
}
    
/*
1
2
3
출력
*/

for of 반복문을 사용하게 되면 배열을 순회하면서 배열의 있는 값을 하나씩 할당받는다.

4. 반복문(while)

let i = 0;

while (i < 10) {
	console.log(i++);
}
// 

do {
	console.log(i++);
} while (i < 10);

while문은 (조건문) 이 참이 되는 동안 실행된다.

do while문은 do 안에 있는 실행문을 먼저 실행한 뒤에 while문의 조건을 확인하고 반복을 실행한다.

 

5. 함수

같은 행위를 반복하여 실행할 때 간편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함수를 사용한다.

const c = 20;

function sum(a, b) {
	const c = 10;
	console.log(a+b);
    	console.log(c);		//함수 sum내부의 지역변수 c를 출력 --> 10
}

console.log(c);		//전역 변수 c를 출력 --> 20
sum(1, 2) //3을 출력

함수는 function 함수명(인자) {실행 부분} 의 형태로 선언되고 선언된 함수를 함수명(인자)의 형태로 실행하면 함수 내부의 내용들이 실행된다.

 

function sum(a, b=10){
	console.log(a+b);
}

sum(2) // 12출력

sum(3, 5, 6) // 8출력

함수에 선언된 인자보다 적게 입력해주면 기본으로 설정한 값이 입력된다. 아무것도 설정해주지 않으면 기본값은 undefined가 된다. 만약 인자보다 많이 입력해주더라도 함수의 인자는 argument라는 배열 안에 저장되는데 초과된 인덱스는 접근하지 않기 때문에 오류는 따로 발생하지 않는다.

funtion print(a, b, ...rest) {
	console.log(a);
    console.log(b);
    console.log(rest);
}

print(10, 20, 30, 40, 50, 60, 70);
/*
10
20
[30, 40, 50, 60, 70] 이 출력됨
*/

...rest 부분에 입력된 인자는 argument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배열의 형태로 출력된다.

function sum(a, b) {
	return a + b;
}

console.log(sum(10, 20)) // 30출력

함수의 return 값은 함수를 실행시킨 위치로 반환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