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WINK-(Web & App)/Spring Boot 스터디

(28)
[2024 Spring Boot 스터디] 정호용 #3 주차 - 5~6장 (미완) 05장. 데이터베이스 조작이 편해지는 ORM5.1 데이터베이스란?데이터를 매우 효율적으로 보관하고 꺼내볼 수 있는 곳이다.이점? -> 많은 사람이 안전하게 데이터를 사용/관리할 수 있다.DBMS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이라 한다.데이터베이스 -> 많은 사람이 사용 -> 동시 접근이 가능해야 함.DBMS -> 위와 같은 요구사항들을 만족 & 효율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운영함.MySQL, Oracle 등이 DBMS이다.종류에 따라 관계형, 객체-관계형, 도큐먼트형, 비관계형 등으로 나뉜다. 관계형 DBMSrelational DBMS, 즉 RDBMS이라 한다.관계형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즉 테이블 형태로 이루어진 데이터 저장소를..
[2024 Spring Boot 스터디] 정호용 #2 주차 - 스프링부트 구조 이해 및 테스트 3장 스프링 부트 구조 이해하기스프링부트에는 3가지 계층이 있다.1. 프레젠테이션 계층HTTP 요청을 받고, 이 요청을 비즈니스 계층으로 전송하는 역할컨트롤러가 바로 프레젠테이션 계층 역할을 한다.  2. 비즈니스 계층모든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한다. 비즈니스 로직은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로직을 말한다.웹사이트에서 벌어지는 모든 작업을 처리한다. 3. 퍼시스턴스 계층모든 데이터베이스 관련 로직을 처리한다.  스프링부트의 디렉터리1. main실제 코드를 작성하는 공간이다.프로젝트 실행에 필효한 소스코드, 리소스 파일이 모두 여기 들어있다. 2. test프로젝트의 소스 코드를 테스트할 목적의 코드, 리소스 파일이 들어있다. 3. build.gradle빌드를 설정하는 파일. 의존성이나 플러그인 설정 등 4. s..
[2024 Spring Boot 스터디] 유태근 #2 주차 - 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 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전 주차때 스프링 컨테이너에 객체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하고,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스프링 빈을 찾아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변경하는 작업으로 마무리했다.스프링 컨테이너의 특성 및 역할생성할 때는 구성 정보를 지정해주어야 한다.파라미터로 넘어온 설정 클래스 정보를 사용해서 스프링 빈을 등록한다. @Bean 으로 직접 등록해주면 해당 함수명이 빈의 이름으로 등록된다.설정 정보를 참고해서 Bean들의 의존관계를 주입한다.스프링 빈에는 Role에 따라 2가지로 나눌 수 있다.ROLE_APPICATION : 우리가 직접 정의한 빈ROLE_INFRASTRUCTURE : 스프링 내부에서 사용하는 빈스프링 빈 조회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된 스프링 빈은 이름, 타입, 구현 타입 등으로 조회할 수 있다..
[2024 Spring Boot 스터디] 김호 #2 주차 - 본격적인 Spring Boot 3 Server 및 Test 환경 구성 (3 ~ 4장) 1. Spring Boot 3 개발 환경 개선 본격적으로 Spring Boot 3 server를 구성하기 전에 개발 환경을 수정한다. 1-1. build.gradle 수정build.gradle의 기존 내용에 [그림 1-1]의 내용을 추가한다.Spring Data JPA library는 Spring Boot 전용 JPA library이다.H2 library는 local 및 test 환경에서 In-Memory Database의 data를 객체화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한다.Lombok library는 반복되는 method 작성 작업을 최소화하는 절차를 제공한다. 1-2. templates directory 생성HTML과 같은 view를 저장하기 위해 main/resources/ 경로에 temp..
[2024 Spring Boot 스터디] 정성원 #2 주차 - 스프링 컨테이너 1. 스프링 컨테이너이전 주차에서 이야기했던 컨테이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일단은 ApplicationContext 인터페이스가 스프링 컨테이너라고 알고 가자.//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하기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 = new Anno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ApplicationContext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생성할 수 있다. AppConfig는 지난 주차에 만들었던 클래스를 참고하자.스프링 컨테이너는 XML을 기반으로 만들 수도 있고, 위 예시처럼 어노테이션 기반의 자바 설정 클래스로도 만들 수 있다.스프링 컨테이너의 생성 과정스프링 컨테이너가 어떻게 생성되는지 알아보자.먼저 스프링 빈 저장소 테이..
[2024 Spring Boot 스터디] 남윤찬#2 주차 - 4~5 섹션 (작성 중) 섹션 4. 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 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위 코드를 통해 스프링 컨테이너를 생성한다.스프링 컨테이너를 생성할 때는 AppConfig와 같은 구성 정보를 지정해준다.이처럼 구성 정보를 통해 스프링 컨테이너가 객체들의 의존 관계를 주입해준다.그리고 스프링 컨테이너는 BeanFactory라는 스프링 컨테이너의 최상위 인터페이스를 상속하여, 이것이 제공하는 getBean() 메서드를 사용해 다음과 같이 컨테이너 내의 Bean을 조회할 수 있다.class ApplicationContextBasicFindTest { AnnotationConf..
[2024 Spring Boot 스터디] 황수민 #2 주차 3~4장 3장 스프링 부트 3 구조 이해하기3.1 스프링 부트 3 구조 살펴보기계층스프링 부트의 각 계층은 자신의 책임에 맞는 역할을 수행하며, 필요에 따라 소통한다. 프레젠테이션 계층 (Controller)HTTP 요청을 받고 이 요청을 비즈니스 계층으로 전송하는 역할 비즈니스 계층 (Service)모든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역할더보기'비즈니스 로직'이란?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로직이다.(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로직, 예외 처리 로직,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한 로직 등)퍼시스턴스 계층 (Repository)모든 데이터베이스 관련 로직을 처리하는 역할.이 과정에서 데이터베이스 계층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객체인 DAO를 사용할 수도 있다. 프로젝트 디렉터리 구성스프링 부트에는 정해진 프로젝트 구조는 X, 그렇지만 ..
[2024 Spring Boot 스터디] 김호 #1 주차 - Spring Boot 3 알아보기 (0 ~ 2장) 1. 인텔리제이(IntelliJ) 설치 및 개발 환경 구축 스프링 부트 실습을 위해 자바(Java) IDE인 인텔리제이를 설치한다. 1-1. JDK(Java Development Kit) 버전 설정 JDK 버전은 교재에 나온 17 버전으로 설정한다. 17 버전으로 설정해야 추후 formatted() 메서드나 instanceof 등의 키워드를 8 버전에 비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1-2. 그레이들(Gradle) 설정  그레이들 DSL(Domain Specific Language)을 Groovy로 설정한다. 1-3. 의존성(Dependency) 추가  plugins 블록 내에 스프링 부트 플러그인 'org.springframework.boot'와 스프링의 의존성을 자동 관리하는 'spring.depen..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