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SCAR-(Autonomous Driving) (201)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5 ROS 스터디] 김승현 #1주차 - ROS 소개 Chapter1.로봇 소프트웨어 플렛폼 ● 컴퓨터, 핸드폰 >> 누구나 하나쯤은 보유하고 있는 대중화 제품 >>다양항 하드웨어의 결합이 가능한 하드웨어 모듈 >>운영체제 + 애플리케이션 ● 하드웨어 모듈 + 운영체제 + 앱(서비스) + 유저 ==>>생태계(ecosystem) ● 보이지 않는 생태계 속의 분업 ex)하드웨어 회사, 운영체제 회사, 앱 회사 ● 하드웨어 만들고 소프트웨어 짜고 로봇 개발 혼자 다함>>대중화되지 못함 ● 소프트웨어 플렘폼이 가져온 변화 1.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통합 2. 하드웨어 추상화 · 규격화 · 모듈화 3. 가격 ↓ , 성능 ↑ 4. .. [2025 ROS 스터디] 조원영 #1주차 - ROS 개요 Chapter 1 로봇 소프트웨어 플랫폼Eco System = 하드웨어 모듈 + 운영체제 + 앱 (서비스) + 유저역사는 반복된다.Personal PC → Personal Phone → Personal Robot(?)PC가 변화해온 방향으로 핸드폰이 변화해왔다.이 방향이면 로봇 운영체제도 통일 가능성 있음.로봇 분야의 운영체제는 춘추 전국시대다양한 회사에서 각자의 운영체제를 만들어 가는 중.EX) Open Source (ROS), Closed Source (NAOqi), Galapagos (OpenRTM) 등우리나라나 일본에서도 만들었음.이건 축구 경기장을 짓는 것과 동일 → 여기에 집중하지 말고, 여기 안의 플레이어즉, 응용 프로그램을 잘 만드는 것에 집중하자.Chapter 2 로봇 운영체제 ROS오픈.. [2025 1학기 알고리즘 스터디] 신지은 #1주차 1. 수 정렬하기3(https://www.acmicpc.net/problem/10989)첫 번째 시도 - 실패, 그림 그리면서 열심히 했는데.. 메모리 초과 :(#includeusing namespace std;void SortFunction(int arr[], int n) { //정수 배열 정렬 for (int i = 1; i = 0 && arr[j] > k) { arr[j + 1] = arr[j]; j--; } arr[j + 1] = k; }}int main() { int n; //몇 개의 정수를 입력할 것인지 결정 cin >> n; int* numbers = new int[n]; //정수형 포인터를 선언해서 .. [2025 1학기 알고리즘 스터디] 1주차 박건민 1주차의 주제 정렬 알고리즘! 정렬이란 무엇인가...그래서 정렬 알고리즘에 대해 찾아봣습니다. 1. 정렬 알고리즘 종류(1) 선택 정렬 (Selection Sort)설명: 데이터 집합에서 최소값을 찾아 첫 번째 위치와 교환하고, 그 다음 최소값을 찾아 두 번째 위치와 교환하는 방식으로 정렬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전체를 정렬합니다.특징: 구현이 간단하지만, 시간 복잡도가 O(n²)로 비효율적입니다. 안정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2) 삽입 정렬 (Insertion Sort)설명: 데이터 집합을 순회하면서 각 요소를 적절한 위치에 삽입하여 정렬을 수행합니다. 이미 정렬된 부분과 비교하여 새로운 요소를 삽입하는 방식입니다.특징: 대부분의 요소가 이미 정렬되어 있는 경우 효율적이며, 최선의 경.. [2025 1학기 알고리즘 스터디] 김민주 #1주차 알고리즘 스터디 1주차 : 정렬 1. 수 정렬하기 3https://www.acmicpc.net/problem/10989 1번 문제는 수 정렬하기입니다! 💡문제 분석 및 알고리즘 설계N이 최대 10,000,000이고, 메모리 제한이 있으므로 생각나는 가장 빠른 정렬 방식을 택해서 구현했는데요바로바로 QuickSort 입니다 더보기#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int n;vector num;int partition(vector& arr, int l, int r) { int pivot_index = (l + r)/2; swap(arr[pivot_index], arr[r]); int pivot = arr[r]; int i = .. [2025 ROS 스터디] 신채영 #4주차 - SLAM과 내비게이션 이론 로봇이 길을 찾기 위해서는 위치/센싱/지도/경로 위 4가지의 요소가 필요하다. 이번 주차에서는 위의 요소를 활용하여 지도를 작성하고,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계산하고 주행하기까지의 과정에 대해 배워보았다. 1. 위치 로봇의 위치 추정 방식에는 절대 위치 추정 방식과 상대 위치 추정 방식으로 나뉜다. 절대 위치 추정 방식에는 Landmark, Indoor GPS, WiFi SLAM, Beacon 등의 센서를 사용한다. 이러한 방식은 절대 위치에 대해서 알 수 있지만 인프라 구축에 관한 어려움, 비용 문제 등이 존재한다. 상대 위치는 기준점으로부터의 상대적인 위치를 말하는 것으로, 추측 항법 방식으로 추정할 수 있다. 양 바퀴 축의 엔코더 값, 바퀴 간 거리, 바퀴 반지름 등을 통해서 이동거리와 회.. [2025 ROS 스터디] 이영상 #4주차 - SLAM과 내비게이션 SLAM과 네비게이션 SLAM이 무엇일까?Simultaneous Localiztion And Mapping -> 동시적 위치 추정 및 지도 작성=> ‘길찾기’라고 이해하자(로봇이 주변 환경의 지도를 작성하면서 동시에 자신의 위치를 추정하는 알고리즘) 위의 4가지는 왜 중요할까?-> 나중에 ros에서 사용할 패키지나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위치 : 로봇의 위치 계측 / 추정하는 기능gps 사용하면 되는거 아니야? -> 실외에서만 가능하고 오차 및 날씨의 영향을 받는다 indoor positioning sensor (절대 위치)1) landmark (color, IR camera) (색상이나 IR 카메라를 이용해 사전에 설정된 기준점을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내 위치를 파악하는 방식. 정확도가 높다.).. [2025 ROS 스터디] 황희찬 #4주차 - SLAM과 내비게이션 1. SLAM & Navigation 이란?SLAM(simultaneous Loclization And Mapping)은 동시적 위치 추정 및 지도 작성을 의미한다. 즉, 자신이 위치한 곳을 알면서 동시에 주변 환경을 맵핑하는 기술이다. 쉽게 말해, 로봇이 미지의 공간에서 스스로 위치를 추적하고, 그 공간의 지도를 만들어 가는 과정.Navigation은 차량 자동 항법 장치를 의미 2. 길 찾기에 필요한 것-위치 : 로봇의 위치를 계측/추정 하는 기능 ex)GPS, WIFI SLAM, Beacon...-센싱 : 벽, 물체 등의 장애물의 계측하는 기능 거리센서 : 초음파센서, 적외선 거리센서 비전센서 : 카메라 Depth camera : 깊이 정보 수집 가능-지도 : .. 이전 1 2 3 4 ··· 26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