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51)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5 1학기 스프링부트 스터디] 이상래 #3주차 👀 비즈니스 요구사항 정리데이터: 회원ID, 이름기능: 회원 등록, 조회아직 데이터 저장소가 선정되지 않음(가상의 시나리오)웹 애플리케이션 계층 구조 컨트롤러: 웹 MVC의 컨트롤러 역할서비스: 핵심 비즈니스 로직 구현리포지토리: 데이터베이스에 접근, 도메인 객체를 DB에 저장하고 관리도메인: 비즈니스 도메인 객체, 예) 회원, 주문, 쿠폰 등등 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됨 클래스 의존관계 아직 데이터 저장소가 선정되지 않아서, 우선 인터페이스로 구현 클래스를 변경할 수 있도록 설계데이터 저장소는 다양한 저장소를 고민중인 상황으로 가정개발을 진행하기 위해서 초기 개발 단계에서는 구현체로 가벼운 메모리 기반의 데이터 저장소 사용👀 회원 도메인과 리포지토리 만들기도메인 모델id, name 필드를 .. [2025 1학기 스프링부트 스터디] 최비성 #3주차 섹션 4. 회원 관리 예제 - 백엔드 개발 비즈니스 요구사항 정리 1. 데이터 저장소가 선정되지 않고 개발해야 한다는 가정하에 실습을 진행한다.2. interface로 구현체를 만들고 메모리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것이다. 회원 도메인과 리포지토리 만들기 Member 도메인 생성.package wink.spring_boot_study.domain;public class Member {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Long id) { this.id = id;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2025 1학기 React.js 스터디] 이가인 #3주차 1. JSX 이해하기2. props 사용법3. 조건부랜더링4. useState : 동적인 값 관리하기5. input 상태 관리하기6. 여러개의 input 상태 관리 7. 과제 보여주깅 JSX리액트에서 생김새를 정의할 때 사용하는 문법- 리액트에서 컴포넌트를 만들 때 화면에 보일 구조를 쉽게 표현할 수 있게 도와줌return 안녕하세요; Babel 자바스크립트의 문법을 확장해주는 도구 JSX -> JS 변환 제대로 되기위한 규칙1. 닫혀잇는태그2. 두 개 이상의 태그는 무조건 하나의 태그로 감싸져 있어야함. -> 번거로움 -> Fragment(리액트요소) 사용 Fragment - - 별도의 엘리먼트로 나타나지않음 3. JSX 내부에 자바스크립트 변수 보여주기 { } 으로 감싸기 4. JSX 에서 태그에 .. [2025 1학기 React.js 스터디] 이종민 #3주차 리엑트가 만들어진 이유숙련된 JavaScript 개발자라면, 코드를 최대한 깔끔하게 정리하여 쉽게 유지보수를 할 수도 있겠지만, 대부분의 경우 웹 애플리케이션의 규모가 커지면, DOM 을 직접 건드리면서 작업을 하면 코드가 난잡해지기 쉽습니다. 리액트는 어떠한 상태가 바뀌었을때, 그 상태에 따라 DOM 을 어떻게 업데이트 할 지 규칙을 정하는 것이 아니라, 아예 다 날려버리고 처음부터 모든걸 새로 만들어서 보여준다면 어떨까? 라는 아이디어에서 개발이 시작되었습니다.우선 src 디렉터리에 Hello.js 파일을 작성했습니다.export default Hello;이 코드는 Hello 라는 컴포넌트를 내보내겠다는 의미입니다. 이렇게 해주면 다른 컴포넌트에서 불러와서 사용 할 수 있습니다.Hello 컴포넌트를 .. [2025 1학기 스프링부트 스터디] 오세웅 #3주차 비즈니스 요구사항 정리회원ID와 이름을 데이터에 저장, 회원 등록 및 조회 기능을 구현하는데아직 데이터 저장소가 선정되지 않았다는 가상의 시나리오가 있습니다.데이터 저장소가 선정되지 않았다는게 모르겠지만 일단 넘어가겠습니다. 컨트롤러에서 브라우저의 요청을 받아서 서비스에서 핵심 비즈니스 로직을 거친 후리포지토리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도메인 객체를 DB에 저장하고 관리합니다.도메인은 비즈니스 도메인 객체로 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를 한다는데 무슨 말인지 이해를 못했습니다..그래서 조금 더 찾아봤는데 서비스에서는 "언제, 어떻게"를 정하는 거고도메인에서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정하는 거라고 합니다. 이게 클래스 의존 관계인데 데이터 저장소가 선정되지 않아서 interface를 먼저 만듭니.. [2025 ROS 스터디] 장우혁 #1주차 - ROS 소개 및 설치 Ch 1. 로봇 소프트웨어 플랫폼 1) 스마트폰과 컴퓨터의 공통점 - 둘 다 대중화된 상품 - 다양한 하드웨어가 결합 가능한 구조 - 운영체제(OS) + 애플리케이션(App) → 하드웨어 모듈 + 운영체제 + 앱(서비스) + 유저 = 하나의 생태계 2)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가져온 변화 - 하드웨어 인터페이스가 통합됨 - 하드웨어를 추상화, 규격화, 모듈화해서 가격은 낮추고 성능은 향상 - 하드웨어, 운영체제, 앱이 분리됨 → 개발자는 사용자 니즈에 맞춘 서비스 개발에 집중할 수 있음 - 구매 → 사용자 수 증가 → 피드백 → 생태계 순환 구조 형성 3) 로봇 분야 - 현재 여러 로봇 운영체제가 존재함 (ex. NAOqi, ROS, OPROS 등) - 가장 많이.. [2025 1학기 React.js 스터디] 최은희 #3주차 #1. 리액트는 어쩌다 만들어지게 되었을까?dom을 직접 조작하면서 만든 웹앱은 규모가 커질수록 복잡해지는데,이를 효율적으로 다루기 위해 만들어짐. 상태가 변하면 그에 맞춰 자동으로 UI가 업데이트됨.=> 복잡한 웹 UI를 덜 복잡하고 효율적으로 만들기 위해 만들어짐! #3. 리액트 컴포넌트*컴포넌트: 화면에 보여줄 부분을 만드는 코드(예를 들면 버튼 하나, 헤더 메뉴, 카드 하나 등...) *컴포넌트를 만드는 방법1.함수형 컴포넌트2.클래스형 컴포넌 *JSM: 보기에는 html처럼 생겼지만 내부에서는 자바스크립트 코드로 변환시켜줌 *함수형 컴포넌트 만들기1. scr폴더 안에 컴포넌트용 .js 파일을 새로 만든다.2. 파일 안에 컴포넌트 코드를 작성한다.function MyComponent() { re.. [2025 1학기 React.js 스터디] 백채린 #3주차 1. 리액트는 어쩌다 만들어졌을까?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자주 발생➡️ 처리해야 할 이벤트, 관리해야 할 상태값, DOM이 다양해지게 되고 규칙도 많이 복잡해짐➡️ Ember, Backbone, AngularJS 등의 프레임워크가 만들어짐* 이 프레임워크들은 자바스크립트의 특정 값이 바뀌면 특정 DOM의 속성이 바뀌도록 연결해서 업데이트 💡 상태가 바뀌었을 때, 아예 처음부터 새로 만들어서 보여주자는 아이디어에서 리액트가 시작❓ 근데 이러면 속도가 매우 느리게 되지 않나?? 그래서 리액트에서는 Virtual DOM을 사용함* 브라우저에 보여지는 DOM이 아닌 메모리에 가상으로 존재하는 DOM으로, JavaScript 객체이기 때문에 속도가 훨씬 빠름즉, DOM의 상태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변경 전과.. 이전 1 2 3 4 ··· 94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