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ole.log -> print 같은 느낌?!!
변수
let : 변수 선언 시 사용, 선언 할 떄 초기화 필요x, 같은 변수에 두번 let사용 x
console.log(변수) : 콘솔 창에 변수 출력해줌 -> 눈으로 직접 확인 가능
상수
한 번 정하면 변하지 않음
const : 상수 선언 시 사용, 선언 할 때 초기화 필요
변수나 상수의 이ㅡㄻ의 첫 번째 글자는 영어, $, _ 만 가능
우선 const 사용 후 변수가 필요할 때 let 쓰기 (항상 const 사용!!)
원시 데이터
어떤 값 딱 하나만 가르킴
not 객체, not 메서드인 데이터
number : 숫자
bigint : 개크거나 개작은숫자 or 숫자+n
string : 문자열
boolean : true or false
null : 값이 존재하지 않음
undefined : 값이 아직 지정되지 않음
console.log(typeof 변수) : type 알려줌
` : 백틱
const msg = '저는' + job + '이고, ' + age + '살 입니다.'
const msg = `저는 $[job}dlrh, ${age}살 입니다.`
->> 동일
참조 데이터
몇 개 일지 모르는 여러개 나타냄
배열 & 객체 & 함수
배열 [ ]
arr(배열) : 데이터들의 집합 ex) [1,2,3] 숫자배열
console.log(arr) : 배열
console.log(arr[인덱스]) : 특정 값
객체 { }
object
key, 값 존재
const obj ={name : ' 승혁', job : '백수'}
점표기법(일반적 상황)
console.log(obj.name);
대괄호표기법
console.log(obj.[name]);
-> 같음
배열과 객체의 중첩
-> like 파이썬 2차원 배열
연산자
산술 연산자 : +, -, *, /, %, **
증감 연산자 : ++(1증가), --(1감소)
ex) 1증가
let number = 10;
number++;
console.log(number)
비교 연산자 : >, <, >=, <=, ==(양변 같은지 비교), ===(양변 같은지 비교 타입까지), 1==(양변이 같지 않은지, 같지 않으면 true)
논리 연산자 : &&(모두 참일 때만 참), ||(하나만 참이어도 참), !(피연산자의 값 부정 ex. !a)
삼항 연산자 : 3개의 피연산자 갖음
ex)
consloe.log(조건 ? 참일 떄 실행될 부분 : 거짓일 때 실행될 부분);
console.log(2 < 3 ? '참' : '거짓');
널리쉬 : ?? (여러 개의 피연산자 중에서 값이 확정이 되어있는 변수를 찾음
ex)
const a =undefined;
const b = null;
const c = '승혁'
console.log(a ?? b ?? c);
비트 연산자 : &, |, ~, ^, <<, >> (잘 안써요~)
대입 연산자 : =
전개 구문 : 펼치는 역할
ex)
const numbers = [1, 2, 3]
console.log(...numbers)
-> 1 2 3(출력값)
const numbers = [1, 2, 3]
const numbers2 = [4, 5, 6]
const new = [...numbers, ...numbers2]
데헷 나도 js 배운당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