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INK-(Web & App)/Spring Boot 스터디

[2025 1학기 스프링부트 스터디] 여민호 #1주차

반응형

[1]스프링프레임워크

-과거에는 EJB사용->하지만 너무 복잡하고 어려운 시스템

 ->사용자가 단순화함, 기본 스프링 프레임워크 탄생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함,,EX)라이브러리 사용 용이,생산성 증가,다양한 문제해결

  ->그중에서도 다양한 기능이 최대장점!!...DI컨테이너,AOP,스프링 MVC,스프링 WebFlux등등

하지만 너무 잘되어서 프로젝트 증가 ->발전되어 증가 ->발전되어 증가 : 설정이 너무 많아지고 EJB처럼 어려워짐

 

[2]스프링 부트

->너무 어려워진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도와주는 역할의 프로젝트,최소한의 인간 개입으로 시작되고 작동됨

(핵심기능)

(1)WAS: 톰캣과 같은 별도의 웹서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됨,내장되어 있음

(2)라이브러리 관리: 웹관련 라이브러리 사용시 알아서 필요한거를 가져다줌

(3)라이브러리 빈을 자동 등록

(4)외부설정 공동화

(5)프로덕션 준비

**주의** 스프링 부트는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쉽게 사용하게 해주는 도구일뿐 별개가 아님

 

[3]웹서버와 스프링 부트 소개 

-과거: WAS를 따로 설치, 매우 복잡, 초보자들에게 오랜 시간 소요(참고로 나도 이거 깔고 실행하는데 1시간 30분 소요)

-현재: WAS와 같은 톰캣이 스프링부트안에 내장되어 있어(완전 개꿀이잖아~~)

 

[4] 톰캣 설치

강의 내 방법 제시

##하지만 강의에 나오지 않은 추가 배경 설치가 필요함##

--자바 17버전을 먼저 설치 후 톰캣과 연동->톰캣에서 startup.bat으로 실행 

 

(추가전인 탐구:톰캣의 사용 이유와 정의)

*톰캣을 쓰는 이유

=java 기반 웹 에플리케이션을 실행하려면 서블릿 컨테이너가 필요함

    ->이때 서블릿 컨테이너가 톰캣임

간단히 사용 이유

(1) 서블릿 컨테이너 역할을해서

(2) 내장형 서버로 사용 가능

(3) 개발 및 배포에 용이

 

다음시간에 만나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