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INK-(Web & App)/Spring Boot 스터디

[2025 1학기 스프링부트 스터디] 류현준 #2주차

반응형

섹션 3.  스프링 웹 개발 기초

1) 정적 컨텐츠

 

정적 컨텐츠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때 서버가 별도의 처리 없이 그대로 전달하는 고정된 파일을 의미합니다. HTML, CSS, JavaScript, 이미지, 폰트 파일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서버는 이 파일들을 미리 준비해두고 요청이 들어오면 그대로 응답하기 때문에 응답 속도가 빠르고 서버 부하가 적습니다.

localhost:8080/hello-static.html을 치고 들어갔지만 갑자기 글씨가 깨져서 당황했지만 " 하나를 잘못 치니 저렇게 나와버렸습니다...

 

 

똑디 입력하니 잘 나오는 모습임미다.

 

웹브라우저에 'localhost:8080/hello-static.html' 을 치면 내장 톰켓서버가 요청을 받고 'localhost:8080/hello-static.html' 가 왔다고 스프링에게 넘김. 컨트롤러가 우선순위를 갖는데 관련 컨트롤러가 없음. resources에 static/hello-static.html을 찾아서 반환해줌.

 

2) MVC와 템플릿 엔진

  • MVC

    MVC는 Model-View-Controller의 약자입니다.
    1) Model: 데이터, 비즈니스 로직 처리
    2) View: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화면
    3)Controller: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처리하고, 결과를 Model에 담아서 View로 전달
    ex) 햄부기 가게
    손님(사용자): 햄부기 plz
    점원(controller): ㅇㅋ 주방에 주문 넣을게여 (요청받음)
    주방(model): 빵 고기 야채로 햄부기 조리 (데이터 준비)
    점원(view): 햄부기 포장해서 손님들께 전달 (HTML 보여주기)

  • 템플릿 엔진

    사용한 템플릿 엔진: Thymeleaf
    HTML 안에 자바 데이터를 끼워 넣는 도구

MVC는 Model-View-Controller의 약자로, 애플리케이션을 비즈니스 로직(Model), 화면(View), **요청 처리(Controller)**로 나누어 구조화하는 패턴입니다.

3) API

 

API =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서버가 클라이언트가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로

JSON방식

원래 xml방식이 주였으나 JSON이랑 xml이 반반하다가 이제는 JSON이 메인이 되었다고 함미다.

기본은 JSON으로 반환되게 세팅되어있습니당.

 

java getter/setter 단축키 command+N / ctrl+ente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