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INK-(Web & App)/HTML & CSS & JS 스터디

[2023 신입부원 심화 스터디] 김윤희 #2주차 - Part 2. , Part3.

반응형

5강 조건문 (if)

const a = 10;

const b = 20;

if (a<b) {

console.log(’a가 더 작아요!’);

} else {

console.log(’거짓!’);

}

조건부의 결과값이 참이면 블록 내부의 실행문이 실행된다 !

→ if(a<b) console.log(’a가 더 작아요!’); 로 쓰는 것도 가능하다.

  1. 하나의 조건문을 작성할 때 if, else는 한 번만 사용합니다. if로 시작, else로 끝나야함 (else는 없어도 됩니다 !)
  2. else if는 if와 else사이에 작성합니다. 하나의 조건문에 여러개 사용 가능 !

6강 조건문 (switch)

const number = 10;

switch(number) {

case 1:

console.log(number);

break;

case 10:

console.log(number);

break;

}

  1. switch문은 일치하는 조건을 만나면 이후에 만나는 break까지 만나 나머지 경우를 실행하지 않는다.
  2. break를 만날 때까지 코드가 실행된다.
  3. default는 else처럼 마지막에 위치하며 위에서 참이되는 경우가 없을때에 실행된다.
  4. if문과 거의 동일한 역할을 한다.

7강 반복문 (for)

for (let i = 0; i < 5; i ++) {

console.log(i);

}

let i = 0; → 반복문의 시작값을 의미하며 반복문에 진입할 때 최초로 딱 한 번만 실행된다.

i < 5; → 조건식을 의미한다. 반복문이 돌아갈때마다 조건식에 부합하는지 확인한다. 참이라면 반복문 실행, 거짓이라면 반복문이 종료된다.

i++→ 증감값을 의미하며 매회 반복을 마친 다음에 실행된다.

조건문 안에서 break를 사용하면 아예 반복문이 종료되며, continue를 사용하면 해당 조건만 건너뛰게 된다.


8강 반복문 (while)

const arr = [1, 2, 3];

for (const i of arr) {

console.log(i); //1, 2, 3

}

let i = 0;

while (i < 10){ // 반복을 유지할 조건 작성

console.log(i++);

}

do - while 문 → 조건문을 반복문의 시작위치가 아니라 끝에서 판별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무조건 한 번은 실행됨 !!

let i = 0;

do {

console.log(i++);

}while (i<10);


9강 함수

  1. 어떤 목적을 달성하거나 원하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코드의 집합
  2. 한 번만 쓰고 마는 것이 아닌 반복적인 동작을 처리하기 위해 작성된다.
  3. 같은이름으로 계속해서 재활용 가능

function bok(main) //인자가 필요하면 작성 {

console.log(’{main} 볶음밥’);

}

bok(’새우’);

boe(’제육’);

  1. 인자는 함수의 입력값으로 argument라고 한다 .
  2. 매개변수는 함수의 입력변수로 parameter라고 한다.
  3. 함수 내부에서 선언된 변수를 지역변수라고 한다.
  4. 함수 외부에서 선언된 변수를 전역(글로벌)변수 라고한다. 함수 내부에 접근 가능 !
  5. 변수를 사용할 수 있는 범위는 중괄호로 감싸진 블록안으로 제한된다. (함수 뿐만아니라 조건문, 반복문도 마찬가지)
  6. default prameter는 매개변수들의 기본값으로 인자가 적을때에는 기본값으로 출력되며 인자가 딱 맞을때에는 기본은 무시된다.
  7. 인자를 더 많이 전달할 경우 argument덕분에 오류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function print(a, b, …rest){

console.log(a);

console.log(b);

}

print(10, 20, 30, 40, 50, 60, 70);

  1. rest를 사용하면 나머지 인자들을 배열로 묶는다.
  2. 함수는 return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하여 값을 반환할 수도 있다. 이때 함수는 종료되고 호출된 위치에 반환한다.

10강 함수의 표현식

function sum (a, b){

console.log(a+b);

}

const sum = function (a, b) {

console.log(a+b);

}

const sum = (a, b) ⇒ console.log(a+b); // 화살표 표현식

→ function이라는 키워드 생략 ! 중괄호를 생략하면 return을 생략한 것과 같음

const greeting = user ⇒ console.log(’Hello, ${user}!’);

greeting(’김윤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