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WINK-(Web & App)/Spring Boot 스터디

(104)
[2024-2 Spring Boot 스터디] 조상혁 #1주차 이 블로그는 스프링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를 기반으로 쓰여졌습니다. 사전 준비 spring을 하기 위해서는 java와 IntelliJ의 설치가 미리 되어 있어야 한다고 한다.11이면 좋다고하니 일단 나의 버전을 확인해보자 음 11 은 아니지만 상위 버전이니 차이가 있는지 유의하면서 개발해야겠다.자바 11 vs 자바 17혹시나 필요할지 모르니 링크도 찾아두었다. JAVA 환경 변수 설정 -> IDE 설치 이렇게 볼 수 있겠다. 이 포스팅은 자바로 개" data-og-title="자바(JAVA) 11 설치 및 환경설정 | 자바 11 환경 변수" data-og-type="article" data-ke-align="alignCenter" data-ke-type="opengraph"> 자바(JAVA) ..
[2024-2 Spring Boot 스터디] 김문기 #1주 Gradle 이란?gradle은 오픈소스 빌드 자동화 툴로, 거의 모든 타입의 소프트웨어를 빌드할 수 있는 유연함을 가진다.하지만 인텔리제이의 외부 라이브러리를 열어보면 내가 설정한 것 외에도 많은 라이브러리들이 추가되어있는 것 을 볼 수 있다.왜 그런걸까??그 이유는 Gradle은 의존관계가 있는 모든 라이브러리를 전부 함께 다운로드하기 때문이다. View 환경 설정1. Welcome Page스프링 부트는 Welcome Page 기능을 제공한다.=> static폴더에 index.html을 넣어두면 스프링부트가 처음 실행 할 때 이 html 파일을 Welcome Page로 보여준다.2. thymeleaf 템플릿 엔진 이란?thymeleaf 템플릿 엔진은 컨트롤러가 전달하는 데이터를 이용해 동적으로 화면을..
[2024 Spring Boot 스터디] 유태근 #3 주차 - 컴포넌트 스캔과 의존관계 자동 주입 컴포넌트 스캔@Bean을 통해 설정 정보를 작성하고 직접 스프링 빈으로 등록해줄 수 있다.@ComponentScan은 @Component가 붙은 모든 클래스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한다. 스프링 컨테이너가 @Autowired를 찾아 자동으로 스프링 빈을 주입한다.@ComponentScan backPackages 파라미터를 통해 탐색할 패키지의 시작 위치 지정 가능최상단에 위치시켜 하위에 모든 component가 등록되게끔 구현하는 것이 보편적@Component 뿐만 아니라 해당 어노테이션을 달고 있는 @Controller, @Service, @Configuration 등도 대상에 포함useDefaultFilters, includeFilters, excludeFilters를 통해 컴포넌트 스캔 대상 설정 가능..
[2024 Spring Boot 스터디] 남윤찬#2 주차 - 6~7 섹션 컴포넌트 스캔과 의존관계 자동 주입 시작하기Configuration, 즉 빈 정보를 직접 작성해주었지만, 프로젝트가 방대해지면 불가능에 가까워진다. 그래서 스프링은 Configuration 없이 스프링 빈을 등록하는 컴포넌트 스캔을 제공한다.컴포넌트 스캔은 @ComponentScan이라는 어노테이션 하나를 붙여주면 된다. 그러면 이름 그대로 @Component 어노테이션이 붙은 클래스를 스캔해 스프링 빈으로 등록한다.package hello.core;...@Configuration@ComponentScan( excludeFilters = @ComponentScan.Filter(type = FilterType.ANNOTATION, classes = Configuration.class))publ..
[2024 Spring Boot 스터디] 정호용 #3 주차 - 5~6장 (미완) 05장. 데이터베이스 조작이 편해지는 ORM5.1 데이터베이스란?데이터를 매우 효율적으로 보관하고 꺼내볼 수 있는 곳이다.이점? -> 많은 사람이 안전하게 데이터를 사용/관리할 수 있다.DBMS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이라 한다.데이터베이스 -> 많은 사람이 사용 -> 동시 접근이 가능해야 함.DBMS -> 위와 같은 요구사항들을 만족 & 효율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운영함.MySQL, Oracle 등이 DBMS이다.종류에 따라 관계형, 객체-관계형, 도큐먼트형, 비관계형 등으로 나뉜다. 관계형 DBMSrelational DBMS, 즉 RDBMS이라 한다.관계형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즉 테이블 형태로 이루어진 데이터 저장소를..
[2024 Spring Boot 스터디] 정호용 #2 주차 - 스프링부트 구조 이해 및 테스트 3장 스프링 부트 구조 이해하기스프링부트에는 3가지 계층이 있다.1. 프레젠테이션 계층HTTP 요청을 받고, 이 요청을 비즈니스 계층으로 전송하는 역할컨트롤러가 바로 프레젠테이션 계층 역할을 한다.  2. 비즈니스 계층모든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한다. 비즈니스 로직은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로직을 말한다.웹사이트에서 벌어지는 모든 작업을 처리한다. 3. 퍼시스턴스 계층모든 데이터베이스 관련 로직을 처리한다.  스프링부트의 디렉터리1. main실제 코드를 작성하는 공간이다.프로젝트 실행에 필효한 소스코드, 리소스 파일이 모두 여기 들어있다. 2. test프로젝트의 소스 코드를 테스트할 목적의 코드, 리소스 파일이 들어있다. 3. build.gradle빌드를 설정하는 파일. 의존성이나 플러그인 설정 등 4. s..
[2024 Spring Boot 스터디] 유태근 #2 주차 - 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 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전 주차때 스프링 컨테이너에 객체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하고,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스프링 빈을 찾아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변경하는 작업으로 마무리했다.스프링 컨테이너의 특성 및 역할생성할 때는 구성 정보를 지정해주어야 한다.파라미터로 넘어온 설정 클래스 정보를 사용해서 스프링 빈을 등록한다. @Bean 으로 직접 등록해주면 해당 함수명이 빈의 이름으로 등록된다.설정 정보를 참고해서 Bean들의 의존관계를 주입한다.스프링 빈에는 Role에 따라 2가지로 나눌 수 있다.ROLE_APPICATION : 우리가 직접 정의한 빈ROLE_INFRASTRUCTURE : 스프링 내부에서 사용하는 빈스프링 빈 조회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된 스프링 빈은 이름, 타입, 구현 타입 등으로 조회할 수 있다..
[2024 Spring Boot 스터디] 김호 #2 주차 - 본격적인 Spring Boot 3 Server 및 Test 환경 구성 (3 ~ 4장) 1. Spring Boot 3 개발 환경 개선 본격적으로 Spring Boot 3 server를 구성하기 전에 개발 환경을 수정한다. 1-1. build.gradle 수정build.gradle의 기존 내용에 [그림 1-1]의 내용을 추가한다.Spring Data JPA library는 Spring Boot 전용 JPA library이다.H2 library는 local 및 test 환경에서 In-Memory Database의 data를 객체화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한다.Lombok library는 반복되는 method 작성 작업을 최소화하는 절차를 제공한다. 1-2. templates directory 생성HTML과 같은 view를 저장하기 위해 main/resources/ 경로에 temp..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