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주차 첫 블로깅 !!!!! 스타트
1. 콘솔 & 주석
console.log('Hello');
- console.log = 타 언어의 print
- ;(세미콜론) = 문장 끝 부호, 필수 ❌
console.log('Hello'); // 안녕하세요~!
// console.log(false);
- // - 주석달 때, 코드 비활성화할 때
2. 변수 & 상수
⚠️⚠️⚠️⚠️⚠️⚠️⚠️⚠️var⚠️⚠️⚠️⚠️⚠️⚠️⚠️⚠️
var x = 1;
- 오늘날 사용 ❌ ———- let, const로 대체
2-1. let (변수)
let a = 1;
let b = a; // 데이터를 다른 주머니로
a = "에이"; // 주머니 a 속 데이터 변경
- 주머니 속 데이터 변경 ⭕
- :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숫자, 텍스트, 불리언, 객체 등 어떤 데이터도 담을 수 있다!
2-2. const (상수)
const A = 1;
// A = 2 안됨~~~ 데이터 변경 불가
- 주머니 속 데이터 변경 ❌
- 보통 대문자로!
(국룰)
🌟 변수 명명 규칙
- 영문, 한글, 숫자 등 가능
- BUT 숫자로 시작 ❌
- 특수문자는 $ or _
- 띄어쓰기 사용 ❌
- 예약어 사용 ❌
3. 자료형 & 연산자
3-1. boolean (자료형)
let bool1 = true; // 참
const bool4 = 1 > 2; // false 출력
- 참/거짓 여부
console.log(typeof bool1);
// console.log('boolean'); 과 동일
let bool5 = !true; //즉 true의 반대값인 false
- typeof 연산자 = 자료형 반환
- ! 연산자 = 반대값
3-2. number (숫자 자료형)
let num1 = 10; // 정수
let num2 = 3.14; // 실수
- 정수/실수, 용량 구분 없음
3-3. string (문자열 자료형)
const str1 = '안녕';
const str2 = "Wink";
console.log(typeof '1'); // 이때 1은 숫자 아니고 문자!!
- 작은따옴표/큰타옴표 구분 ❌
3-4. undefined & null (자료형)
- undefined : 값이 지정되지 않음 / “모른다”
- null : 비어 있음 / “실패했다”
4. (+ 연산자
4-1. 비교 연산자
const a = 1;
const b = 2;
console.log(a == b, a != b);
// false, true 출력
- == : 자료형 달라도 값이 같음
- 반대 : ! =
- === : 자료형, 값 모두 같음
- 반대 : ! ==
const str1 = 'ABC';
const str2 = 'DEF';
- 부등호: 사전순서상 뒤로오는 쪽이 더 큼
4-2. 부수효과 연산자
~ ++ vs ++ ~
- ~ ++ : 값을 증가시키지 않은 채 사용
- ++ ~ : 값을 증가시킨 채 사용
4-3. 할당 산술 연산자
let x = 3;
x += 2;
console.log(x); // 출력 5
x -= 3;
console.log(x); // 출력 2
- 문자열은 +=만 가능
4-4. boolean 관련 연산자
console.log(true && false); // false 출력
console.log(true ll false); // true 출력
- &&(and): 양쪽이 모두 true 면 true
- ll(or): 한쪽만 true 면 true
4-5. 삼항 연산자
let num5 = 103247 + 1;
console.log(
'num5는 3의 배수' +
(num5 % 3 === 0 ? '입니다.' : '가 아닙니다.')
);
// num5는 3의 배수 입니다.
- (조건) ? (참일 때 값) : (거짓일 때 값)
5. 객체 & 배열
5-1. 객체
const person1 = {
name: '강민지',
age: 22,
};
// 출력 방식
console.log(person1.name) // 식별자 명명 규칙에 맞을 시
console.log(person1['name'])
- 키 : 값의 조합 = property
- 자료형 이외의 모든 데이터
5-2. 배열
const myArray = [true, 3.14, 'Hello', person1];
console.log(myArray, myArray.length); // 배열의 요소개수
console.log(myArray[0])
// 요소 추가
myArray.push(123);
// 요소 삭제
myArray.pop();
- 키 = number 타입
6. if & else 문
const a = 1;
const b = 2;
if (a < b) {
console.log('a가 b보다 작다.');
} else if (a > b) {
console.log('a가 b보다 크다.');
} else {
console.log('a와 b는 같다.');
}
// else if 여러 개여도 ok
- if ↔ else (T/F)
7. Switch 문
const firePower = 1;
switch (firePower) {
case 1:
console.log('레어');
break;
case 2:
console.log('미디움');
break;
case 3:
console.log('웰던');
break;
default:
console.log('오류');
}
- break 제거하면, 원하는 케이스부터 아래 (원하지 않는)케이스들까지 모두 출력됨
- default : 위의 case 중 해당하는 값이 없을 때
반응형
'WINK-(Web & App) > React.js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1학기 React.js 스터디] 백채린 #1주차_진짜_최종 (0) | 2025.03.28 |
---|---|
[2025 1학기 React.js 스터디] 최은희 #1주차 (0) | 2025.03.28 |
[2025 1학기 React.js 스터디] 한혜민 #1주차 (0) | 2025.03.28 |
[2025 1학기 React.js 스터디] 이승준 #1주차 (0) | 2025.03.26 |
[2025 1학기 React.js 스터디] 이상래 #1주차 (0)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