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724)
[2023 ROS 스터디] 변준형 #1주차 - ROS에 대해 알아보자 ROS란? Robot Operating System의 약자로 로봇을 다룰 수 있게 도와주는 메타운영체제입니다. 여기서 메타운영체제란 어플리케이셔노가 분산 컴퓨팅 자원간의 가상화 레이어로 분산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여 스케줄링 및 로드, 감시, 에러 처리 등을 실행하는 시스템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전통적인 운영체제가 아닌, 기존의 전통적인 운영체제를 이용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ROS의 특징 1. 통신 인프라 * 노드 간 데이터 통신을 제공 * 통상적 미들웨어로 지칭되는 메시지 전달 인터페이스 지원 2. 로봇 관련 다양한 기능 * 로봇에 대한 표준 메시지 정의 * 다양한 라이브러리 * 센싱/인식 * 네비게이션 * 매니퓰레이션 3. 다양한 개발 도구 * 로봇 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개발 도구를 제공 *..
[2023 ROS 스터디] 최지웅 #1주차 - ROS의 기본 1) 로봇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장점 - 하드웨어 플랫폼과의 소프트웨어 플랫폼간의 인터페이스 확립 - 하드웨어 지식없이도 응용 프로그램 작성 가능(소프트웨어 인력들이 참여가능) - 서비스에 집중 - 로봇 개발의 급속도 발전 가능 2) ROS 란? - 오픈소스 기반 로봇을 위한 운영체제 - 로봇틱스 소프트웨어 개발을 전세계 공동작업 가능하도록 생태계를 구축 - 메타운영체제이다 (이기종 디바이스 간의 통신 지원의 장점) - 통신인프라 구축, 로봇 관련 다양한 기능, 다양한 개발 도구 3) ROS 개발 환경 구축 컨트롤 창 여는 방법: ctrl + alt + t 한줄 설치를 하려고 했는데 그 이후, 창을 순서대로 열고 roscore/ rosrun turtlesim turtlesim_node/ rosrun tur..
[2023 ROS 스터디] 정혁제 #1주차 - ROS에 대해 알아보자 들어가며 강의가 총 3편이였지만, 막상 이론적인 내용 뿐이라 사실 패드에 쓰면서 공부를 더 많이 한 듯하다. 일단 리눅스의 단축키부터 하나도 모르는 상황이라, 기초적인 것들은 유튜브를 통해 배워나갔다.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9_KIdQ8abH4 pwd 부터 sudo명렁어까지 필수적인 부분들을 설명해 주시는데, 아마 나빼고는 다들 아는 부분이라 생각한다... (조만간 책 한권 사서 자세한 구조까지 알아봐야겠다) Chapter 1. 이번강의는 전반적인 로봇의 현황에 대해 많이 설명해 주셨다. 처음 주제는 computer와 personal phone의 공통점 2가지이다. 1. 다양한 하드웨어의 결합이 가능한 하드웨어 모듈 2. 운영체제 + 애플리케이션 또한, Har..
[2023 ROS 스터디] 조현준 #1주차 - ROS의 개요, 설치 및 개발환경 세팅 Chapter 1. 로봇 소프트웨어 플랫폼 1강에서는 로봇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탄생배경과 필요성에 대해 설명한다. 산업시장에서는 ' 모듈 + OS + APP(서비스) + 유저 '의 4대 요소가 상호작용을 이루며 분업이 되고있다. 하지만 로봇분야의 기업들은 이 분업이 이루어지지 않아 대중화가 잘 되고있지 않다. 로봇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가져올 미래 하드웨어 플랫폼과 소프트웨어 플랫폼간의 인터페이스 확립 모듈형 하드웨어 플랫폼 확산 하드웨어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응용프로그램 작성 가능 더 많은 소프트웨어 인력들이 로보틱스 분야로 진입 가능 유저에게 제공할 서비스에 집중 가능 실 수요가 있는 서비스 제공으로 유저 계층 형성 및 피드백 가능 로봇 개발이 급속도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Chapter 2...
[2023 ROS 스터디] 조영상 #1주차 - ROS설치 *강의 출처 : 로보티즈(표윤석님) 스터디 내용 중 혹시 틀리거나 잘못된 부분이 있을 때 정말 가감 없이 지적해주시면 부족한 제가 성장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강의를 통해 굉장히 많은 이야기들을 들었지만 주된 핵심내용은 사실 얼마 되지 않았다. 우선 Chapter 1의 내용을 요약해 보자. Chapter 1 해당 Chapter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자면 '앞으로 우리가 해야 할 (개인용) 로봇 개발의 방향성'이라고 할 수 있다. 미래에 대중화될 로봇을 개발하기 위한 참고서로 '개인용 컴퓨터(PC)'와 '개인용 휴대전화(PP)'를 예시로 들었다. PC와 PP가 개발된 과정처럼, 로봇 개발 역시 현재 같은 길을 걷고 있고, 앞으로도 PC와 PP의 발자취를 따라갈 것이다.라는 것이..
[2023 ROS 스터디] 임현진 #1주차 - ROS설치 ROS 설치 ROS를 설치하는 방법에는 1줄 설치 또는 수동 설치 방법이 있습니다. 강의에 나온대로 1줄에 설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하지만, 개발에 익숙해지면 ROS를 직접 수동으로 설치 할 줄 알아야 한다고 해서, 수동으로 직접 설치를 해보았습니다. 수동으로 설치할 경우에는 자신의 Ubuntu버전에 따라서 2가지로 나뉩니다. Ubuntun 버전이 18.04인 경우에는 ROS Melodic Morenia를 설치해야 하고, Ubuntu 버전이 20.04인 경우에는 ROS Noetic Ninjemys를 설치해야합니다. 저의 경우에는 Ubuntu가 18.04의 버전이기 때문에, ROS Melodic Morenia를 설치하였습니다. http://wiki.ros.org/melodic/Installati..
[2023 ROS 스터디] 신의석 #1주차 - ROS설치 0주차 ubuntu 설치에 이어 1주차에 ROS설치를 진행했다. 강의에서 한 줄 설치와 수동설치 둘 다 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우분투와 ROS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동설치는 시기상조라 생각해 한 줄 설치로 진행했다. 처음 설치할 때 꽤 긴 시간이 소요돼 이렇게 간단히 성공하나 생각했다. 하지만 어김없이 겪게 되는 수많은 에러들... .... 왜.... 왜 도대체 왜 를 반복하며 해결하려 하면 할수록 늘어나는 에러들에 지쳐가던 중 내 실수가 있었다기 보단 뭔가 근본적인 문제가 있지 않을까 생각하게 됐다. 프로그램 만병통치약 껐다 켜기도 해 봤지만 어김없이 실패했다. 결국 기존 ubuntu 삭제 후 다시 설치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다시 새롭게 시작할 때 ubuntu software update..
[2023 ROS 스터디] 조한준 #1주차 - ROS설치 우선 강의에서 한 줄 설치라고 간편하게 나와있었다. 하지만 VM Virtual Box, ubuntu의 개념에 생소했던 나는 어디다 써야 될지 몰랐다. 애꿎은 윈도우 터미널에 사용했지만 당연히 될 리가 없었다. VM Virtual Box 안에 있는 ubuntu에 돌아와 여기저기 찾아본 결과 여기에도 터미널이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우분투를 설치할 때 무슨 오류가 있었는지 들어갈 때마다 계속 설치 창이 나와서 그것을 해결하는데 애를 먹었다. ROS Melodic을 설치 할때 이 블로그를 참고했다. https://oo7-0310.tistory.com/80 ROS Melodic 설치하기(한줄설치) Ubuntu 버전에 따라 지원하는 ROS 버전이 다르다. Ubuntu 16.04 ROS Kinetic Ubuntu ..
[2023 ROS 스터디] 홍선재 #1주차 - ROS설치 ROS 설치할때 한줄 설치를 할 생각이었다. 하지만 강의에 있는 한줄 설치는 kinetic이고 구글에 검색해서 설치하려고 했을때는 melodic 버전이 있었다... 강의 댓글에도 둘 중 무엇을 깔아야하는지 헷갈려 하는 사람이 있어 동질감을 느꼈다. 처음에는 강의에 나오는 kinetic으로 했다가 나의 우분투 버전이 안맞다는 걸 깨닫고 선택해야했다. 우분투 버전을 바꿀지 melodic 버전을 바꿀지 울면서 다시 melodic 버전을 설치하는데 잘 안되어서 버츄얼 박스에 우분투를 완전삭제 후 하기로 했다.(설치 과정부터 엄청난 지옥이었다) kinetic / melodic 버전의 존재를 알았던건 https://robertchoi.gitbook.io/ros/install 이 링크에 있는 설명을 통해 알게됐다. ..
[2023 ROS 스터디] 김동훈 #1주차 - ROS 설치(에러 감옥에서 탈출하기) 처음 ROS를 설치할 때는 한 줄 설치가 편법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설치하려고 했다. http://wiki.ros.org/kinetic/Installation/Ubuntu kinetic/Installation/Ubuntu - ROS Wiki We are building Debian packages for several Ubuntu platforms, listed below. These packages are more efficient than source-based builds and are our preferred installation method for Ubuntu. Note that there are also packages available from Ubuntu upst..
[2023 ROS 스터디] 오현민 #1주차 - ROS설치 먼저 sudo 권한을 얻기 위해 https://lieadaon.tistory.com/178 이 블로그에서 나온대로 했습니다. vi 편집기를 아마 사용하실텐데 vi 편집기 사용법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보통 우분투 사용자들은 터미널을 사용하기보다는 주로 터미네이터(terminator) 를 쓰는 것 같습니다. 영상에서 roscore를 켜놓고 터미널을 다시 켜서 명령어를 입력하는데 한 눈에 보이지 않으니까 좀 불편합니다. 터미네이터는 터미널을 분할할 수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한 화면에 모든 터미널이 들어오게 됩니다. 설치하시려면 터미널에 sudo apt-get install terminator 입력하시면 됩니다. 관련 단축키 * 수평 분할 : Ctrl + Shift + O * 수직 분할 : : Ctrl..
모각윙 6주차 마지막 모각윙의 날이었다. 활동 모음 - 프론트 앤드 메인 페이지, 가게페이지, 로그인/회원가입 페이지 구현 중 - 백앤드 Login/Logout/Signup 구현 완료 표상우 : https://okpyo11.tistory.com 신재혁 : https://shinba.tistory.com 우정헌 : https://blog.wookingwoo.com 성정규 : https://sjkdev.tistory.com 양나래 : https://didskfo.tistory.com
[모각코-김최홍#6주차] 프론트엔드, 백엔드 개발 계획 세우기 2 프론트엔드 저번주에 찾아놨던 템플릿을 모티브로 웹 UI를 제작하였다. 백엔드 - API 명세서 작성 https://www.notion.so/choiht/API-dc9cf003ac934833a6a67593648ed38d - API 명세서를 바탕으로 ERD 다이어그램 제작 각자 공부한 것 호준 [컴퓨터비전#15/11-21] 행렬(텐서)or벡터의 역전파 과정, 자코비안,Local Gradient Slice, Batch Normalization [컴퓨터비전#14/11-16] 1*1 Convolution, pooling, conv의 output과 wieght개수 계산, Batch-Normalization [컴퓨터비전#13/11-14] Convolution Layer- 필터(Feature-map,padding,st..
모각윙 5주차 활동 모음 - 프론트 앤드 디자인 와이어프레임 짜오기 - Figma Flutter Init Setting 주요 페이지 와이어 프레임 제작 완료 -> 프론트 코딩 시작 - 백앤드 API 리스트 업 Spring/Kotlin Study USER API CALL 제작 완료 -> 백앤드 코딩 시작 표상우 : https://okpyo11.tistory.com 신재혁 : https://shinba.tistory.com 우정헌 : https://blog.wookingwoo.com 성정규 : https://sjkdev.tistory.com 양나래 : https://didskfo.tistory.com
[모각코-김최홍#5주차] 프론트 개발 방향 틀기 | 개발 계획 세우기 원래 우리 프로젝트의 목적은 물물교환 '앱' 개발이었다. 하지만 개발 스택을 쌓는데 앱보다는 웹이 더 도움이 될 것 같다고 판단하여 물물교환 웹서비스를 개발하기로 방향을 틀었다.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 기존에 계획한 페이지 로그인 회원가입 홈화면 + 검색 + 카테고리 물건 상세페이지 물건 등록페이지 채팅 목록 페이지 채팅페이지 교환 신청할 내 물건 선택 마이페이지 네비게이션 바 다시 계획한 페이지 로그인 회원가입 홈화면 + 검색 + 카테고리 물건 상세페이지 물건 등록페이지 채팅페이지 마이페이지 모바일의 작은 화면때문에 여러개로 나누어야 했던 페이지들을 PC의 웹 화면에서는 한 화면에 다 담을 수 있게되었다. 이에 맞추어 디자인을 위한 피그마 템플릿도 다시 찾았다. 우리가 참고하려고 하는 페이지들이다...
모각윙 4주차 시험이 끝나고 윙커톤을 위해 다시 회의를 시작했다. 기능 명세 작성 Main - map -> 위치(naver 지도 참고) -> 메뉴/가맹점 이름 검색 후 띄우기 -> 후순위 -> 가맹점 -> naver 크롤링 -> 리뷰, 별점 - 매장 List Profile - 닉네임 수정 - 비밀번호 변경 StoreDetail - 가맹점 이름 - 가맹점 리뷰 - 별점 - 메뉴 - 가맹점 전화번호 변경점 백앤드 프레임워크 Djgnao -> Spring Boot로 변경 다음주 과제 - 프론트 앤드 디자인 와이어프레임 짜오기 - Figma Flutter Init Setting - 백앤드 API 리스트 업 Spring/Kotlin Study 표상우 : https://okpyo11.tistory.com 신재혁 : https:/..
[모각코-김최홍#4주차] 디자인 페이지 기능요소 구체화 하기 # 시험 끝엔 모각코! 시험이 끝났지만 김최홍팀은 오늘도 모여서 열심히 공부를 했습니다. 먼저 저번에 구상했던 피그마 디자인에 대한 기능요소를 어느정도 구현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 차근히 나열하도록 하겠습니다. # 물물교환 앱 - 디자인 초안 먼저 필수 구현 기능에 대한 정리를 완료했습니다! 이를 통해서 페이지를 추려 봤는데 다음과 같이 9개의 페이지를 만들어야 한답니다!! 양이 꽤 많고 다들 처음 도전해보는 것들이기 때문에 할 수 있을지 싶지만, 모각코를 통해서 각자 열심히 공부해서 기필코 완성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 다음은? 이제 시험이 끝났기 때문에 디자인 초안을 완료하고,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 프로토타입을 제작하면서 공부할 계획입니다. 안드로이드 네이티브와, 스프링 모두 현업에서 많이 ..
모각윙 3주차 1. 저번주 과제 저번주에 기획과 기능을 러프하게 완료했다. 그리고 이번주 까지 백앤드와 프론트앤드에게 과제를 내주고 조사를 해오기로 했었다. - 프론트앤드 플러터 환경 세팅 와이어프레임 러프하게 짜오기 - 백앤드 API 조사 서울 아동급카드 현황 네이버 리뷰 GET 영수증 인증 가능한가...? 아동급식카드 인증 프론트앤드에서는 플러터를 처음 하는 인원도 있어서 앱과 친해지기 위해 플러터 환경세팅을 과제로 내주었고, 프론트앤드에서 디자인을 할 것이기 때문에 와이어 프레임을 러프하게 짜오기로 했다. 백앤드 에서는 아동급식카드의 사용자만 이용가능 하도록 하기 위해 아동급식카드의 여러가지 인증 방법을 찾는 것과 리뷰등의 API를 찾아오는 것이 과제였다. 다음주가 시험기간이기 때문에 팀원 모두 저번주 과제에 대..
[모각코-김최홍#3주차] 페이지별 기능 정하기 / 각자 공부하기 1. 페이지별 기능 정하기 저번주엔 앱 아이디어를 구체화 시켰으니 이번주는 페이지별 기능을 정했다. 원래는 기능을 정하면서 피그마에 디자인도 구체적으로 만들어 놓을 생각이었으나, 이번주 수요일에 다시 모여 디자인을 정하기로 하였다. 디자인을 어떻게 할지에 따라 기능도 약간은 달라질 수 있어서 아직 자세히 구체화 시키진 않았다. 페이지별 자세한 기능 정리와 피그마 디자인은 수요일 회의를 마치고 다시 아래에다가 정리해둘 예정이다. ▶ 페이지별 기능 (피그마) 2. 앞으로의 목표 다음주부터는 시험기간이기때문에 해커톤과 모각코 활동은 잠시 멈추고, 10월 31일부터 다시 진행하기로 했다. 해커톤 진행이 시험기간을 제외하면 대략 6~7주의 시간이 소모될 것이라고 예상되어서 이번주까지는 페이지별 기능 구체화 상세 ..
모각윙 2주차 1. 기획 하기 저번주에는 UN-지속가능발전목표 17가지 중 2가지 이상의 주제를 다루는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주제를 정하였다. 주제는 아동급식카드 가맹점을 찾아주고, 메뉴, 리뷰 등을 볼 수 있는 '웹'을 만드는 것이었다. -> 하지만 주제를 정하다 보니 우리 팀 프로젝트의 아이디어 특성상 유저의 이용 편의성을 위해 '웹' 대신에 '앱'을 만드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이 나와서 '웹' 대신 '앱'을 만들기로 변경하였다. 웹에서 앱으로 바뀌었기때문에 사용하는 기술 스택도 달라졌고 Frontend와 Backend의 담당 팀원도 달라지게 되었다. Frontend : 신재혁, 성정규, 양나래 Backend : 표상우, 우정헌 또한 모든 팀원들이 상의하며 아이디어를 주고 받으면서 어떤 기능이 필요할지, 이 기능이..
[모각코-김최홍#2주차] 아이디어 구체화 시키기 /공부한 내용 공유하기 2주차 모각코 진행 내용 1. 아이디어 구체화 시키기 우리의 물물교환 앱 아이디어는 여기서부터 시작되었다. 이 이야기는 이미 많은 사람들이 익히 들어서 알고 있을것이다. 저게 어떻게 가능해?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뉴스에 나오는 저 사람이 집을 얻기 위해 물건을 교환한 사례들을 보면 이게 가능하구나 싶다. 누군가 우리가 개발한 앱을 사용해서 머리핀으로 집을 얻는 것까지 바라진 않지만, 중고거래가 워낙 활발한 요즘 서로의 물건을 교환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앱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그 메커니즘을 확실히 짚고 넘어가야했다. 우리가 회의를 하면서 세운 규칙중 몇가지만 적어보자면, 돈으로 사고파는 행위는 불가능하다. 물건 뿐만 아니라 식자재도 교환이 가능하다. 웬만하면 비슷한 동네 사람끼..
[모각코-김최홍#1주차] 해커톤 계획세우기!! 각자 공부하기! # 1주차 모각코 진행 내용 ## 주제 선정 우리팀은 물물교환 앱을 만들기로 아이디어를 구체화 시켰다. 당근마켓과 유사하지만 매개체가 돈이 아닌 오직 물물을 통해서만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주된 아이디어이다. 클립으로 집을 샀다는 이야기가 있듯이, 물체가 연속되서 교환하는 형태를 체인화 시켜서 보여주면 사용자가 교환에 재미를 얻을 수 있을거 같다는 생각을 했다. 실제 배포를 해봐도 괜찮은 아이디어인거 같다. 지하철 출구에서 사람들이 소와 돼지를 교환하는 장면을 목격하면 정말 재밌지 않을까ㅎㅎ ## UN 지속가능 17가지 1번 → 빈곤퇴치 11번→ 지속가능한 도시와 지역사회 12번→ 책임 있는 소비와 생산 13번→ 기후행동 의 주제들이 우리아이디어에 부합할 것이라는 결정을 했다. 어떻게 보면 물물을 ..
모각윙 1주차 국민대학교 소프트웨어중심대학에서 학생들의 자발적인 학습 문화를 응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스터디 소그룹(모각코/모각공)이 있어 윙커톤 2조의 팀원들이 함께 공부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팀 전체 참여했다. 이번 '윙커톤'의 주제는 UN-지속가능발전목표 17가지 중 2가지 이상의 주제를 다루는 서비스를 개발 하는 것이 목표이다. '모각윙' 모임 1주차에서는 모두 모여서 브레인 스토밍을 하며 윙커톤 주제를 정하고 프로젝트의 이름을 정했다. Project Name : DreamForest 또한 서로의 실력과 주로 사용하는 기술스택을 모르기 때문에 자신이 가장 자신있는 기술스택을 공유하고 Frontend와 Backend로 개발 분야를 나누었다. Frontend : 표상우, 성정규, 양나래 Backend : 신재혁, 우..
<Hyperledger-Fabric 공부 일기 (with couchDB)> Couchdb ? NoSQL 기반으로 구성된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이다. 특징은 json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JS를 쿼리 언어로 사용한다. 나는 이 couchdb를 hyperledger-fabric에 적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것이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데이터베이스를 하나 더 만들게 되면 DB를 2개나 관리하는 번거로움이 생기지만, 이번 프로젝트의 핵심 요소인 '개인문서'를 Backend(nodejs, mariadb)에서 접근하는 것은 옳치 않은 아키텍쳐라고 판단하여 이렇게 진행하기로 결정하였다 공식문서는 couchdb 사용을 권장한다. before apply couchdb를 셋팅하기 전 몇 가지 알아야할 점이 있다. 1. You will need t..

반응형